우리나라 명절 설과 정월대보름
맛있는 것도 많이 먹고, 재미있게 노는 것도 좋지만 명절의 의미를 되새기며 지낸다면 더 뜻깊게 보내지 않을까? 명절은 오랜 세월을 거치며 생겨나 이어져 오는 명일 또는 좋은 시절을 의미하는 말이다. 예로부터 우리 민족은 일 년 중 특별한 날에 여러 가지 행사를 열고 놀이를 즐겼는데, 이것이 시간이 흐르면서 모든 사람이 함께 즐기고 기리는 명절이 되었다고 한다. 명절은 대부분 계절과 매우 관계가 깊은데, 우리 민족이 농경 생활을 하게 되면서 풍년을 기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자연스럽게 생겨 난 것이다. 그러나 농경 사회에서 산업 사회로 발전하면서 설과 정월대보름, 추석, 단오를 제외한 삼짇날, 중양절, 상달고사, 납향일, 입춘, 칠석 등 명절의 의미는 점점 사라지고 있다.
설 <설날>
음력 1월 1일, 즉 정월 초하루로 새해를 맞는 날이 바로 "설"이다. 설날이 되면 서로 흩어져 살던 가족이며 있던 일가 친척이 모두 모여 조상에게 차례를 올리고 조상의 묘를 찾아 성묘를 한 다음 어른에게 세배를 올린다. 이것은 조상에게 새로운 해가 시작되었다는 것을 알리고, 낳아 주고 길러 주신 부모의 은혜에 감사 드리고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설날 아침에는 떡국을 먹고 윷놀이, 널뛰기, 연날리기, 지신밟기 등의 놀이를 하며, 새해의 건강과 안녕을 기원한다.
정월대보름
정월대보름은 새해에 처음으로 맞이하는 보름달이다. 우리 선조들은 이 날을 일 년 중에 가장 뜻깊은 보름날이라고 여겨 여러 가지 행사와 놀이를 즐겼다. 정월대보름의 대표적인 풍습으로 "부럼까먹기"가 있는데, 정월대보름에 밤, 잣, 호두, 땅콩 등 껍질이 딱딱한 과일을 까먹으면 일 년 동안 부스럼이나 종기가 나지 않는다고 믿었다. 약밥과 오곡밥을 지어 먹고, 일 년 내내 좋은 소식만 들으라는 뜻으로 귀밝이술을 마셨으며, 달집태우기를 하며 한 해의 운수를 점치기도 하고, 지신밟기, 쥐불놀이, 고싸움 등의 놀이를 하며 풍년을 기원했다.
'민속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월대보름 단체로 하는 민속 놀이 (0) | 2020.12.20 |
---|---|
부럼깨기와 더위팔기 풍속 (0) | 2020.12.19 |
우리나라 명절의 종류 (0) | 2020.12.19 |
우리 민속에 담긴 예술 (0) | 2020.12.18 |
서낭당은 어떤 곳이었을까? (0) | 2020.12.18 |